프로그래밍/Java

6. 형변환

계발꿈나무 2014. 6. 18. 20:07
반응형

형 변환


 - 200이라는 숫자를 입력하면 컴퓨터에는 위와 같이 0과 1로 이루어진 조합으로 저장된다.

 -  0과 1을 bit라고 부른다

 - 32bit : 위의 데이터는 8X4개의 자릿수로 이루어져 있다. 

 - 컴퓨터에서의 200과 200.0의 차이

 - 아래 bit를 보면

00000000 00000000 00000000 11001000

01000011 01001000 00000000 00000000


1) 자동 형 변환

double a = 3.0F;

 - 3.0F의 값은 자동으로 double 타입으로 형 변환이 일어난다. 

 - float < double

 -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double 타입이 float 타입보다 더 많은 수를 표현 할 수 있기 때문이다. 

 * 자동 형 변환의 원칙은 표현범위가 좁은 데이터 타입에서 넓은 데이터 타입으로의 변환만 허용된다는 것이다.

byte 타입은 short가 될 수 있지만 short는 byte 타입이 될 수 없다. long은 float가 될 수 있지만, float는 long이 될 수 없다.


2) 명시적 형변환

 - 자동 형 변환이 적용되지 경우에는 수동으로 형 변환을 해야 한다.

 - 아래와 같이 괄호 안에 데이터 타입을 지정해서 값 앞에 위치시키는 것을 명시적인 형 변환이라고 부른다.

float a = (float)100.0;

int b = (int)100.0F;

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