계발꿈나무 2014. 6. 18. 18:31
반응형

1. 상수

 - 상수(常數, constant)란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한다. 아래의 코드 중에서 a는 변수이고, 1은 상수이다.

1 = 3;

컴파일이 되지 않는다. 1은 3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. 1은 1이고, 3은 3이다. 고유한 값을 가지고 있고, 그 값을 변경 할 수 없는 데이터 타입을 상수라고 한다. 


1) 상수와 데이터 타입

 - 실수의 표현

int a = 2.2;

2.2는 실수다. 실수를 정수 타입의 변수 a에 저장하려고 했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. 이것은 변수와 똑같이 상수도 데이터 타입이 있다는 것이다.


float a = 2.2F;

F는 이 기호 앞의 숫자가 float 데이터 타입이라는 것을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.


 - 정수의 표현

오류가 발생할 것이다

int a = 2147483648;

int의 최댓값인 2147483647 보다 1 많기 때문이다. 코드를 고쳐보자. 

long a = 2147483648L;

이제 오류가 해결되었다. 상수도 long 타입이 되었고, 그 상수를 담을 변수도 long 타입이 되었다. 


출처 : 생활코딩

반응형